미국에서 기억 회복 운동 Recovered Memory Movement, Memory Recovery Movement 이라는 것이 유행한 적이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 당했으나 억압된 성적 학대의 기억을 성인이 된 이후 복구해 내는 기법이었습니다.
갖고 있지만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을 회복시킬 수 있을까요?
기억 memory 을 회복 recover 시킨다는 개념이 성립하려면 우리가 살아오면서 했던 경험들이 모두 우리의 뇌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전제에 우리의 뇌가 가지고 있는 모종의 메커니즘 덕분에, 혹은 메커니즘 때문에 우리가 갖고는 있으나 의식은 할 수 없는 기억이 있다는 전제도 더해져야 합니다. 이는 프로이트가 이야기한 억압 repression 이라는 개념으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억하기에 너무 고통스러운 기억들은 저장되지만 의식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어린 시절 당했던 성적 학대 역시 이런 기제를 통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며, 그 이유는 현재의 우리의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무의식적 프로세스가 작동하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기억 회복의 당사자들은 몇 달의 프로그램을 거친 뒤 어린 시절의 성적 학대 경험을 보고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억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치료사는 지워진 하드디스크를 복구하는 업체의 전문가들이 하듯 고객들의 기억을 복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암시성 질문을 하기도 하고, 최면 요법을 사용하여 성적 학대를 받은 즈음의 연령으로 퇴행을 유도하기도 했으며, 꿈을 해석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자백제로 알려진 소듐 아미탈 주사를 사용하기까지 했습니다. 치료사들은 고객들에게 기억 회복 운동에 관한 책을 읽게 하고, 이와 관련된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기도 했으며, 기억 회복에 성공한 다른 여성들과의 집단 치료에 참여시키기도 했습니다. 이런 과정을 몇 주 내지 몇 달 거치고 나면 치료 시작 때는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던 유년기의 기억들이 떠오른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서는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 삼촌, 남자 형제 등 자신에게 성적인 학대를 가한 사람들을 이름을 줄줄이 읊게 됐다고 합니다. 그리고 가해자로 지목된 사람들은 자신의 무고함을 항변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당한 숫자가 전체 여성의 33~50%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고 합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많은 여성들이 성적 학대의 피해자이고, 그들은 그 기억을 떠올리는 것조차 너무나 고통스러워 자물쇠가 달린 상자 속에 그 기억을 넣고 봉인하고는 가장 깊숙한 방의 구석에 처박아둔 채 방문을 걸어 잠근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어린 시절에 당했던 학대가 미치는 영향력이 너무나도 강력해 평생 영문도 모를 부적절감과 낮은 자존감에 시달렸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어린 시절에 성적 학대를 당했다고 추정되는 피해자들의 수치가 조금 과합니다. 전체 여성의 3분의 1에서 2분의 1 정도가 유년기 성적 학대의 피해자라고 추산하는데, 이는 미국에서만 4300만 명에 달합니다. 성적 학대가 1 대 1 관계에서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가해자 남성도 4300만 명이 있다는 뜻이고, 이를 알고도 모른 채 한 가족, 친척들을 포함하면 그 숫자는 1억 명도 넘게 된다는 것이지요. 이는 미국 인구의 거의 40%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이게 과연 가능한 수치일까요.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아동기의 부정적 경험이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ACE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의 약자로 에이스라는 단어의 의미와는 영 어울리지 않는 말입니다.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의 저자 네이딘 버크 해리스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67% 이상이 ACE 중 한 가지, 12.6%가 4가지 이상의 ACE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ACE로 분류된 항목들이 총 10개이며, 각각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신체적 방임, 정서적 방임, 가정 내 약물 남용, 가정 내 정신질환, 어머니가 폭력을 당하는 것, 부모의 이혼 혹은 별거, 가정 내 범죄 행위입니다. 성적 학대는 이 중 하나의 항목을 구성하고 있을 뿐이므로 ACE를 갖고 있는 환자 전체가 성적 학대의 피해자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여성 인구 중 많게는 50%가 유년기 성적 학대의 피해자라고 보는 것은 지나친 면이 있다고들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거짓 기억 False Memory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인간의 기억은 매우 허술하고 취약합니다. 인간에게 거짓 기억 false memory 을 심는 것은 매우 간단한 일이라는 것이 연구자들의 일관적인 보고입니다. 아주 유명한 실험이 벅스 버니 실험입니다. 실험자들은 피험자들에게 어린 시절에 디즈니랜드에 놀러 갔던 일을 회상해서 이야기해 보라고 한 뒤, 그 이야기에 장단을 맞춰준 뒤 자신이 즐거운 토끼 캐릭터인 벅스 버니와 악수를 했던 것에 대해서 언급합니다. 아시겠지만 벅스 버니는 워너 브라더스의 캐릭터이지 디즈니랜드의 캐릭터가 아닙니다. 나중에 피험자와 다시 이야기를 나누면서 디즈니랜드에서 벅스 버니를 만났던 것을 기억하느냐고 묻자 많은 피험자들이 자신도 벅스 버니를 만났던 것을 기억한다고 답변했다고 합니다.
또한 인간은 권위가 있거나 신뢰감 있는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은 무조건 믿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사건 현장에 있던 전문가가 하는 이야기에 맞추어 자신의 기억도 아주 쉽게 왜곡한다는 것입니다. 사고 현장의 차 색깔에 대해 경찰이 검은색과 빨간색이었다고 하면 내 기억은 검은색과 파란색이었다고 하더라도 검은색과 빨간색으로 바꾸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절대다수가 하는 말은 무조건 사실이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기억을 집단의 기억에 맞추어 변조하기도 합니다. 위의 예에서 모든 사람들이 한 치의 망설임 없이 검은색과 빨간색 차 사이에 사고가 났었다고 하면 우리는 우리의 기억을 재빠르게 바꾼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기억을 무조건 믿습니다.
이처럼 기억은 모래성처럼 연약한 정신적 구조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우리의 기억에 절대적 권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위에서도 언급했던 프로이트가 이야기했던 억압된 기억이라는 개념, 그리고 그것들이 의식의 장막 뒤에서 우리를 배후 조종하는 컨트롤 센터라는 개념은 아동기 성적 학대 혹은 성적 욕구와 관련된 그의 아이디어를 토대로 합니다. 프로이트가 대중화시킨 무의식이라는 개념은 너무나도 강력한 것이어서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의 생각을 지배하고 있으며, 뇌의 작동 방식에 대한 기본적 이해의 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억압된 기억을 떠오르게 하고, 이것을 다루고, 그것과 관련된 부적절한 감정을 처리하면 정신질환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다는 믿음은 지금도 남아 있고, 우리들 역시 그래서 정신과 의원에 가면 의사와 면담이나 상담을 하며 나아질 수 있다고 믿습니다. 이것이 모두 틀리다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히 깊이 있는 대화는 인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있고, 자신에 대해서 이야기할 기회를 갖는다는 것 자체가 생각과 감정을 정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이 말이 모든 인간이 억압된 기억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 성찰해야 한다는 명령과 동일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이제 기억 회복 운동을 신뢰하는 이들은 더 이상 없는 것 같습니다.
이제 기억 회복 운동은 일종의 오점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이 기억을 다시 회복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회복된 기억은 거의 모든 사법체계에서 더 이상은 적법한 증거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리의 기억은 돌처럼 단단한 것 같으나, 또 한편으로는 물거품처럼 덧없습니다.
참고 문헌 :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마이클 셔머), 오래된 기억들의 방(베로니카 오킨),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네이딘 버크 해리스),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한나 모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