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미국 배당주 투자 472

미국 주식 전망 | 조정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미국 주식 시장이 바닥에 다가가고 있으나, 아직 바닥에 닿았다고 보기는 어려울 수도 있다는 뉴스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하락으로 베어마켓(하락장)의 영역에 다가섰던 다우지수는 어제 1.98% 상승했습니다. S&P500 역시 1.86% 상승했고, 나스닥 역시 1.6% 올랐습니다. 미끄러져 내리는 시장은 기술주와 바이오주들을 끌어내렸을 뿐 아니라,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생필품 외의 물품에 대한 소비를 줄이며 타켓(TGT)와 월마트(WMT)의 실적에도 타격을 주었습니다. 투자자들은 금리 인상과 통화량 감축에 대한 두려움으로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우량주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그레이트 힐 캐피탈의 토머스 헤이즈는 말합니다. "우리는 지난주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매도된 주식들을 주워 담았습니다." 그리..

셰브론 Cheveon (CVX) | 주가 전망 | 유가상승

유가상승으로 인해 셰브론의 주가도 따라서 상승하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셰브론을 비롯한 다른 석유주들이 최근 들어 투자자들에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유가상승이 가장 큰 이유이겠지요. 원유 가격이 2021년 8월에 52주 최저가를 찍은 뒤 거의 두 배 상승한 상황입니다. 유가상승의 가장 큰 이유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분쟁입니다. 그 결과 많은 국가들이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선언했습니다. 러시아는 원유 수출량이 가장 많은 나라 중 하나입니다. 그 결과 러시아를 제재한 국가들은 러시아 외의 원유 수입원을 찾아야만 했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원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유럽 국가들이 특히 그랬습니다. 전 세계 원유 공급원에서 러시아가 빠져나감에 따라 원유 공급은 급감했고, 원유 수요는 상승일로에 있습니다. 당연히 가격..

미국 주식 전망 | 하락장 | 몇 %나 하락? | 얼마나 지속? | 경기침체 가능성은?

2차 세계대전 이후 17번의 베어마켓 - 하락장 - 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지난주 2020년 3월 코로나가 발생한 이후 처음으로 S&P500이 베어마켓(bear market) - 하락장 - 에 들어섰습니다. 기술적으로 베어마켓은 고점에서 최소 20% 하락했을 때를 칭합니다. 나스닥 100 지수 역시 5월 초에 베어마켓 영역으로 들어갔습니다. 지난주 타켓과 월마트의 실적 부진 이후 매수세는 더 거세졌습니다. 일단 시장이 유동성장으로 접어든 이상, 이런 시기에 종목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평균 30% 하락하고, 평균 11.4개월 지속됩니다. 베어마켓 - 하락장 - 에서는 평균적으로 30% 가량의 하락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베어마켓은 평균 11.4개월 지속됩니다. 거의 1년이..

애플 (AAPL) | 주가 전망 | 주식 전망

애플의 전망이 무조건 밝다고만 보기에는 어렵다는 뉴스입니다. 애플은 강력한 모멘텀, 애널리스트들의 압도적인 지지, 그리고 독점에 가까운 경쟁력을 가지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성장 전망이 불투명하며, 현재 고평가 됐을 가능성이 있어 중립 포지션을 취하겠다는 것이 글의 요지입니다. 애플은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기업 중 하나입니다. 게다가 컴퓨터와 스마트폰 시장에서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에는 전자기기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 비즈니스에까지 진출하여 애플 뮤직, 아이클라우드, 애플 케어, 애플 티비 +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를 제조할 것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지요. 2022 Q2의 실적은 좋았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9% 상승했습니다. 지금 아이폰은 특히..

미국 주식 전망 | 4~6주 내에 반등? | 7주 연속 하락 중

짧으면 4~6주 내에 반등이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입니다. 이 글은 talkmarkets.com에 올라온 문건을 번역한 것입니다. 지난주 금요일에 강한 반등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한 주 내내 계속된 하락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지금까지 6주 연속 하락을 하고 있고 연준의 50bp 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며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곧 반등이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 이 글의 요지입니다. 다시 말해 지금 과매도(oversold) 구간이라는 것이지요. 아래 이미지는 나스닥 100의 주봉 차트입니다. 만약 10% 반등이 온다면 S&P는 4300, 나스닥 100은 13500 정도에 이를 것입니다. 사실 그 정도가 FOMC 이후 최고점입니다. 현재 낮아지고 있는 고점을 연결한 추세선을 그려봤을 ..

미국 주식 전망 | 큰손 5인의 포트폴리오 변화 | 워렌 버핏 | 마이클 버리 | 레이 달리오 | 짐 시몬스 | 스탠리 드러켄밀러

워렌 버핏, 마이클 버리, 레이 달리오, 짐 시몬스, 스탠리 드러켄밀러의 포트폴리오 변화에 대한 뉴스입니다. 워렌 버핏 : 셰브론 비중 4배 늘리고, 버라이즌은 처분 워렌 버핏의 버크셔 헤서웨이는 지난 쿼터에 셰브론 비중을 4배 늘렸습니다. 셰브론의 주가는 지난 쿼터에만 39% 올랐고, 버핏이 그 비중을 $45억에서 $260억으로 늘린 보람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버크셔 헤서웨이는 시티그룹(Citigroup)과 파라마운트 글로벌(Paramount Global)의 비중도 각각 $29억, $26억으로 늘렸습니다. 그리고 $80억 어치까지 매입했었던 버라이즌(Verizon)은 3개월 전에 포트폴리오에서 완전히 뺐다고 합니다. 마이클 버리 : 애플 하락에 베팅하고 구글, 메타 매입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 마이클..

미국 주식 전망 | 미국 주식 국내 주식 관계 | 미장 국장 관계

S&P와 코스피의 상관계수는 0.86입니다. 요새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금리 인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분쟁, 코로나로 인한 중국의 락다운 등의 악재들로 인해 미국의 주식 시장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특히 미국의 기술주 부문의 하락은 무서울 정도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주식과 국내 주식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해보려고 합니다. 미국 주식을 대표하는 값으로는 SPX를 선택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의 경우에는 KOSPI 지수를 선택했습니다. 위의 그래프는 코스피 지수가 처음으로 집계된 날짜인 1985년 1월 4일부터 2022년 5월 20일까지의 SPX와 KOSPI 지수를 매일 종가 기준으로 그래프화한 것입니다. 눈으로 보기에는 어느 정도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개인투자자로서 할 수 있는..

미국 주식 전망 | 시장에 개인투자자들만 남아있다? | 골드만 삭스

현재 시장에 남아있는 것은 개인투자자들 뿐이며, 개인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할 가능성은 아직 높지 않다고 보고 있습니다. 올해 S&P500은 최근 10년 중 가장 많이 하락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중국의 락다운, 연준의 금리 인상 등을 그 이유로 들고 있지요. 하지만 골드만 삭스의 글로벌 마켓 팀장인 스캇 러브너 Scott Rubner 에 따르면 미국 주식 시장의 원동력 중 하나인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냉정을 -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 유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난 74주 동안 펀드에 유입된 자금 $100 중 다시 빠져나간 비율은 $2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전문 투자자들은 그 정반대입니다. 프로들은 이미 장에서 다 빠져나갔습니다. 지난 주 온갖 종류의 펀드에서 자금이 빠져나갔습니다. 주식, 채권,..

미국 주식 전망 | 인플레이션 | 회복 신호는 무엇일까?

기업들의 수익률이 다시 높아지고, 달러 가치가 안정화되는 것을 확인하고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입니다. 아래 그래프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와 코어 인플레이션을 나타나는 그래프입니다. 꾸준하게 전년 같은 월에 비해 상승하고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면, 소득이 많지 않은 소비자들은 결정을 강요받게 됩니다. 인플레이션은 대개 풍요로운 시기를 뒤따라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풍요의 시기 동안 소비자들은 얼마든지 케이크를 사 먹을 수 있었지요. 당연히 생필품도 충분히 살 수 있었습니다. 식료품, 집세, 연료 등등을 말입니다. 그리고 나서도 옷을 사고, 휴가를 떠나고, 집수리를 할 돈이 남아 있었습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들은 소비패턴을 완전히 바꿔야 합니다.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애플 AAPL | 워렌 버핏 vs. 마이클 버리 | 주가 전망

애플에 대해 상반된 베팅을 한 워렌 버핏과 마이클 버리에 대한 뉴스입니다. 애플이 어제도 5% 넘게 빠지며 $140.82로 마무리했습니다. 그제는 $150까지 오르긴 했었습니다. 지금 월스트릿에 애플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애플은 워렌 버핏이 가장 좋아하는 종목입니다. 그뿐 아니죠,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인기 있는 종목으로 시가총액이 $2.3조에 달합니다. 그런데 영화 빅쇼트의 주인공인 마이클 버리는 이 의견에 동의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마이클 버리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공매도를 걸어 거액을 거머쥐었습니다. 3월 31일 마이클 버리는 애플에 대해 20만 주 규모의 풋옵션을 걸었습니다. 풋옵션을 가진 사람은 특정한 시점에 특정 가격으로 자산을 팔 권리 - 의무가 아닙..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