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깊은 생각

눈 앞의 것에 집중하는 것의 중요성 | 우리는 그저 지금을 살 수 있을 뿐입니다. | 멀티태스킹 | 싱글태스킹

RayShines 2025. 3. 27. 00:00
반응형

벌어지는 일들에 압도될 때에는 그저 눈앞에 있는 것, 가장 급한 것, 가장 중요한 것을 한 번에 한 가지씩 해결해 나가는 것이 그나마 좋은 방법입니다.

 

 

 

안 그랬으면 좋겠지만 삶에 너무나 많은 것들, 너무나 큰 것들, 너무나 무거운 것들이 휘몰아치며 그것들에 완전히 압도되는 때가 있습니다.

삶에는 내 의지로 어쩔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사실 대부분이 그렇죠. 인생은 내 의도와는 아무런 상관없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이지요. 갑자기 불행한 일이 생기기도 하고, 예상치 않았던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런 것들에 어떤 식으로든 반응을 해야 합니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 소극적으로 회피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그 일이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그저 외면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반응하지 않기로 선택한 것 역시 반응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반응을 보여야 합니다.

 

제 경험으로는 모든 일에 대해 해결책이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어떤 것은 그냥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었고, 어떤 사건은 적극적으로 나서서 뭔가 하지 않으면 사라지지 않은 채 인생에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킬 것이 분명해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것을 잘 가려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임은 이제는 알고 있지만, 문제의 소용돌이 한가운데 있을 때에는 그것이 잘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생각해 보면 비합리적 결정이었지만 그때 그 상황에서는 그런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시간이 지나 인정하게 되는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과거 그 맥락 속의 나는 그 맥락에서 빠져나온 지금의 ‘합리적인 체하는’ 내가 아니었으니까요. 다시 말해 우리는 매번 합리적, 이성적 결정을 내릴 수만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방법은 무엇일까요.

 

 

 

그저 눈앞의 것에 집중하는 것, 그거 말고는 방법이 거의 없었던 것 같습니다.

뭔가 내 눈앞에 있다는 것은 누군가가 내 눈앞에 그것을 가져다 두었다는 수동적 의미일 수도 있지만, 동시에 내가 몸을 어느 쪽을 트느냐, 고개를 어느 쪽으로 돌리냐, 시선을 어느 쪽으로 두느냐는 적극적인 의미가 더 큽니다. 어떤 것을 눈앞에 두느냐를 결정하는 기준은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급한 것부터 쳐다볼 수도 있고, 중요한 것에 시선을 둘 수도 있으며,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할 것부터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것을 1순위로 처리할 것이냐는 개인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 인간이 기본적으로 멀티태스킹을 하는 데 매우 서툴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여러 개를 하려고 하면 정신적, 신체적 자원을 나눠야 합니다. 만약 나눌 수 있다면 말입니다. 그러나 어떤 것에는 자원을 60, 다른 것에는 40, 이렇게 배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한 번에 한 가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에 일단 100, 그리고 그 자원을 모두 회수한 뒤 후자에 다시 100을 써야만 합니다. 문제는 이런 식으로 여러 가지 과업을 동시에 진행하며 과업 사이를 오갈 때마다 우리의 정신적 자원에 심각한 누수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과제를 전환할 때마다 안 그래도 엄청난 일에 압도되어 제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우리의 정신적 자원을 더 낭비해야 하는 것이지요. 이 원리는 SNS를 보면서 책을 읽는 것, 핸드폰을 보면서 운전을 하는 것 같은 가벼운 것들에서부터 일생일대의 결정 두 가지를 내리는 것 같은 중대한 문제에까지 다 적용됩니다. 우리는 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우리 대부분은 멀티태스커가 아닙니다. 실제로 매우 멀티태스킹을 잘하는 사람들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 비율은 전체의 1%가 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대부분 내가 멀티태스킹을 잘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조사를 해보면 멀티태스킹을 했을 때 수행 능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어쩌면 우리는 산란할 대로 산란한 현재의 삶 속에서도 싱글태스킹을 하는 방법을 연습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좋은 방법이 운동, 그리고 명상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운동을 할 때는 아주 단순하게 지금 그 동작에 집중하게 됩니다. 지금 세트, 지금 횟수에 집중하고, 잠깐의 휴식 동안에는 다음 세트를 수행할 힘을 다시 찾습니다. “하고, 쉬고, 다시 한다” 그것에 집중합니다. 이것은 아주 단순한 원칙이지만 복잡한 변수와 삶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게 해 줍니다. 그리고 쉬고 다시 나아간다는 정신적 강인함을 연습할 수 있게 합니다. 명상도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명상은 뭔가 거창한 것이 아닙니다. 그저 눈을 감고 숫자를 세며 깊이 숨을 쉬는 것 정도로 충분합니다. 물론 그렇게 할 때 온갖 잡생각이 모두 의식으로 밀려들긴 하지만, 그럴 때 호흡수를 세는 것에 집중하며 싱글태스킹을 연습하는 것이 자꾸 사방으로 달려 나가려고 하는 정신을 다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삶이 우리를 채찍질하더라도 분명 우리는 지금 우리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삶 그 자체만을 살아나갈 수 있을 뿐이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