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61

구글 서치 콘솔 - 사이트맵 삭제하기

실수로 RSS나 sitemap.xml 제출을 잘못할 때가 있다. 이때 잘못 제출된 RSS나 사이트맵을 삭제하는 방법이 있었다. 1. 삭제하기 예를 들면 위와 같은 경우이다. (1) 잘못 제출된 sitemap을 클릭 그러면 위의 창이 뜬다. (2) 오른쪽 위의 설정 - 점 3개 - 를 클릭 그러면 위의 이미지처럼 "사이트맵 삭제" 팝업이 뜬다. 이것을 클릭하면 끝이다. 다시 돌아와 보면 잘못 제출되었던 "rs"라는 이름의 사이트맵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핫키 - 창 크기, 창 위치 제어하기

오토핫키는 창의 크기와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1. Winmove Winmove 명령어를 이용하면 창의 위치와 창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의 위치와 크기를 변화시키는 스크립트를 짜보면 다음과 같다. **** 시작 - 이 행은 스크립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 ; ctrl + win + alt + - 를 누르면 Winactivate, ahk_class Notepad ; 메모장을 활성화시킨 뒤 WinMove, ahk_class Notepad,, 100, 100, 300, 800 ; 왼쪽 위 꼭짓점을 (100,100)에 위치시키고 너비 300, 높이 800 크기의 창으로 변경 (Notepad 뒤에 콤마가 2개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끝 - 이 행은 스크립..

배당주 투자 방법 - 고배당주, 고배당수익률의 함정, 밸류 트랩(Value Trap)

무조건 배당을 많이 주는 종목이 좋을 것일까? 고배당주, 고배당수익률이 배당주 투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일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수익률은 배당주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배당주에 투자를 할 때 첫 번째로 보게 되는 것이 배당수익률이다. 그러나 배당수익률만 가지고 배당주를 선택하는 것 또한 최적의 방법은 아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주 선택 기준으로서 rayshines.tistory.com 배당수익률에 대해서는 위의 포스팅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배당에 대한 전반적 설명을 한 포스팅을 올려두였으니 도움이 됐으면 한다.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이란 무엇이고, 어디에서, 왜 나오는 것일까? (기업은 왜 배당을 지급할까) 배당주 투자..

미국 배당주 투자 - 레짓 앤 플랫 Leggett & Platt (LEG) 장기적 주가 하락과 배당 전망

Legget & Platt - 레짓 앤 플랫, 티커 LEG - 은 순환소비재(consumer cyclical, consumer discretionary) 섹터에 속하는 가구 및 매트리스 제조회사이다. LEG는 분기 배당주이며, 작년 주당 배당 총액은 $1.68이었다. 1. 최근 주가 움직임 LEG의 최근 1년 주가이다. 1년 내내 하락하는 추세에 있다. 고점에서 매입을 했다면 35%에 가까운 손실을 보았을 주가의 움직임이다. 2. 배당주로서의 LEG LEG는 51년 동안 배당을 늘려온 배당왕에 속한다. 2021년 1분기 LEG의 배당은 $0.40였다. 그리고 올해에도 배당컷 - 배당 삭감 - 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올해 분기당 $0.42, 연배당 $1.68을 하겠다고 발표를 했고,..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수익률은 배당주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배당주에 투자를 할 때 첫 번째로 보게 되는 것이 배당수익률이다. 그러나 배당수익률만 가지고 배당주를 선택하는 것 또한 최적의 방법은 아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당주 선택 기준으로서의 배당수익률의 장단점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배당에 대한 전반적 설명을 한 포스팅을 올려두었으니 도움이 됐으면 한다.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이란 무엇이고, 어디에서, 왜 나오는 것일까? (기업은 왜 배당을 지급할까)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이란 무엇이고, 어디에서, 왜 나오는 것일까? (기업은 왜 배당을 지급할 배당주 투자와 관련된 포스팅을 하다 보니, 배당이 무엇이고 어디서 비롯되는 것인지 조금 더 정리를 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와 관련된 포스팅을 올려보려고 한다. 1. 배당 ..

오토핫키 - 특정 창에서만 스크립트가 작동하도록 하기

오토핫키를 쓰다 보면 스크립트가 특정한 창에서만 작동했으면 좋겠다 싶을 때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예를 들어 지난 포스팅에 올렸던 상용구 만들기를 생각해보자. 오토핫키 - 나만의 상용구로 속기사처럼 타이핑하기 오토핫키를 이용하면 상용구를 만들 수 있다. 오토핫키를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반복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게 해 준다는 것이다. 특히 같은 문구를 반복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rayshines.tistory.com 이 상용구 스크립트가 현재 실행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MS워드, 한글, 카카오톡 등의 창에서만 작동하면 편리할 것이다. 1. 그룹 만들기 스크립트가 특정 창에서만 작동하게 만들려면 그룹을 생성해야 한다. 가령 예를 들어 위의 상용구 만들기 ..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성향 데이터 Dividend.com과 Finviz 의 차이

배당성향 수치를 찾아보면 dividend.com과 finviz 의 수치가 다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이유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배당성향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 성향(Payout Ratio)이란? 배당주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배당성향이란 아주 간단히 이야기해서 벌어들인 돈 중 몇 %를 배당으로 돌려주느냐 하는 것이다. 배당주 투자를 하다 보면 배당성향 - payout ratio - 라는 말을 듣게 된다. 배당주를 고를 때 사용하 rayshines.tistory.com 그리고 핀비즈 finviz 의 배당성향 데이터를 스프레드시트로 불러오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면 된다. 구글 스프레드시트 주식 배당 관리 - 16. 배당성향..

구글 스프레드시트 주식 배당 관리 - 16. 배당성향(Payout Ratio) 가져오기

배당주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가 되는 수치가 배당성향(payout ratio)이다. 배당성향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좋을 것 같다.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 성향(Payout Ratio)이란? 배당주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배당성향이란 아주 간단히 이야기해서 벌어들인 돈 중 몇 %를 배당으로 돌려주느냐 하는 것이다. 배당주 투자를 하다 보면 배당성향 - payout ratio - 라는 말을 듣게 된다. 배당주를 고를 때 사용하 rayshines.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레드시트로 배당성향 수치를 가져오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배당성향 가져오기 위의 이미지처럼 배당성향이 들어갈 열을 하나 만든다. 그리고 셀에 아래의 식을 넣는다. =SUBSTITUT..

배당주 투자 방법 - 배당 성향(Payout Ratio)이란? 배당주 선택 기준이 될 수 있을까?

배당성향이란 아주 간단히 이야기해서 벌어들인 돈 중 몇 %를 배당으로 돌려주느냐 하는 것이다. 배당주 투자를 하다 보면 배당성향 - payout ratio - 라는 말을 듣게 된다. 배당주를 고를 때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로 많이 쓰이는 수치인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해서 나름대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1. 배당성향을 구하는 식과 의미 배당성향이란 기업의 순이익(earning)이 현재의 배당금을 감당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산식은 아래와 같다. 배당성향 = 주당배당금 / 주당순이익(EPS) Dividend Payout Ratio = Dividend per share (DPS) / Earnings per share (EPS) 위의 식을 살펴보면 분자와 분모에 모두 주당 - per sh..

구글 서치 콘솔 - 색인 생성 범위 확인

구글 서치 콘솔을 이용해 색인 생성 요청을 한 뒤 이것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그때 사용하는 메뉴가 "색인 생성 범위"이다. 1. 색인 생성 범위 서치 콘솔 초기 화면 좌측 메뉴바를 보면 "색인" 아래 "색인 생성 범위"라는 메뉴가 있다. 그것을 클릭해보자. 2. 실제 색인이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유효", "제외됨" 등의 메뉴가 보인다. 직관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알 수가 있다. 3. 유효 "유효"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유효한 색인데 대한 설명이 나온다. "제출되고 색인이 생성되었습니다"의 오른쪽에 37이라는 숫자가 보인다. 모두 정상적으로 제출되고 색인도 생성되었다.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사이트맵에 제출되지 않았습니다"라는 내용에 대해서 찾아보았다. 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