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43

우리는 우리의 생각을 재검토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 의미 부여 중단 규칙

“바른 마음”, “바른 행복”, “불안 세대” 등의 저자인 조너선 하이트가 이야기한 “의미 부여 중단 규칙”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우리 뇌는 어떤 상황에 대해서 한번 무의식적으로 이야기를 만들어 낸 이후에는 그 이야기가 옳은지 그른지를 다시 한번 살펴볼 생각을 전혀 하지 않음을 빗대어 한 말입니다.   우리의 뇌는 기본적으로 이야기를 마구마구 만들어내는 데 매우 특화되어 있는 기관입니다. 자체로 매우 강력한 이야기꾼, 즉 스토리텔러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이 매우 빠르게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 대해 자미라 엘 우아실, 프리데만 카릭은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에서 흥미롭게 설명합니다. 두 저자는 우리의 뇌를 고층빌딩에 비유합니다. 각 층은 각자 특정한 정보를 처리하는 특정 기능을 담..

항상 남의 탓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마 그러면 마음이 조금 편안해지기 때문이겠지요.

항상 남의 탓을 하는 사람들이 있죠. 그렇게 하면 지금 자신의 삶이 별로인 것에 대해 기분이 좀 나아지기 때문일까요?   우리의 삶은 우리의 마음대로 되지 않습니다.우리가 처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조건은 우리가 선택한 것이 아닐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그냥 우리는 대한민국이라는 곳에서 태어나서 살고 있을 뿐입니다. 여기 우리의 의지는 전혀 없었다고 봐야겠지요. 민주국가에서 태어난 것은 운이 좋았다고 봐야겠으나, 경제적 양극화가 너무 심한 시기에 태어난 것은 썩 운이 좋았다고 보기는 어렵고, 문화적 다양성 측면에서는 과거에 비해서 진보한 시대에 살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모든 조건들은 그저 그렇게 되어있는 것이, 혹은 되어가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지 우리가 어쩔 수 있는 것은 아닙니..

사랑하는 이와의 장기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운 것을 덜 밉게 보려는 노력이 더 중요합니다. | 장기 연애 | 도파민 | 세로토닌

소중한 사람과 장기적이고도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면 서로의 좋은 모습을 좋아해 주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이니 서로에게 마음이 들지 않는 부분을 어느 정도 받아들여주는 것입니다.   관계를 시작할 때는 서로의 좋은 모습만 눈에 들어옵니다. 그렇지 않으면 사랑에 빠질 리가 없겠죠.처음 만날 때부터 서로의 단점이 보인다는 것은 그 사람에게 한눈에 반한 가능성이 거의 없음과 동의어입니다. 첫눈에 반할 때, 우리는 많은 경우 나의 바람을 상대에게 투영합니다. 상대의 실제 모습과는 무관하게 자신이 보고 싶은 것, 자신이 원하는 것을 상대방에게서 억지로 찾아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게 거짓이라고 할지라도 이때는 그것을 알지 못하고 그저 맹목적으로 상대에게 빠져듭니다.  이것에 대해서 어느 정도 과학적 설명이 가능합..

눈 앞의 것에 집중하는 것의 중요성 | 우리는 그저 지금을 살 수 있을 뿐입니다. | 멀티태스킹 | 싱글태스킹

벌어지는 일들에 압도될 때에는 그저 눈앞에 있는 것, 가장 급한 것, 가장 중요한 것을 한 번에 한 가지씩 해결해 나가는 것이 그나마 좋은 방법입니다.   안 그랬으면 좋겠지만 삶에 너무나 많은 것들, 너무나 큰 것들, 너무나 무거운 것들이 휘몰아치며 그것들에 완전히 압도되는 때가 있습니다.삶에는 내 의지로 어쩔 수 없는 것들이 많습니다. 사실 대부분이 그렇죠. 인생은 내 의도와는 아무런 상관없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이지요. 갑자기 불행한 일이 생기기도 하고, 예상치 않았던 좋은 일이 생기기도 합니다. 우리는 이런 것들에 어떤 식으로든 반응을 해야 합니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고, 소극적으로 회피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냥 그 일이 벌어지지 않은 것처럼 그저 외..

우리가 원하는 평범한 삶은 정말 평범한 것인가요?

저에게 누군가 어떤 삶을 원하는지 물어보면 “그저 평범한 삶”이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 제가 그저 평범한 삶을 원한다고 생각했습니다.여기서 평범의 정의는 사람마다 많이 다른 것 같기는 하지만, 찬찬히 들여다보면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평범한 삶은 평탄한 동시에, 평균 이상의 삶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한 고난과 역경은 없어야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누리는 것보다는 많은 것을 누리고 싶어 하는 것이 우리의 마음입니다. 저 역시 그렇습니다. 돈 많이 벌어도 하루에 세끼 먹는 것은 다 똑같다고 말은 하지만 끼니의 횟수가 같다고 하더라도 무엇을, 어떤 상황에서 먹는지는 삼시 세끼라는 횟수만큼이나 중요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는 그저 운송 수단일 뿐이라고 하기는 하지만 롤스로이스가 좋은 차라는..

세상으로부터 단절된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아주 오래전에 혼자 살던 시절에 집에 들어가는 철문을 “철컥”하고 닫고 나면 세상으로부터 완전히 단절되는 느낌이 났던 기억이 납니다.  정확한 날짜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날은 저희 가족 중 한 명이 크게 다쳤다는 이야기를 들은 날이었습니다. 그 외에는 그냥 평범한 날이었습니다. 전 그때 뭔가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던 중이었고 그날도 평소처럼 그날 공부해야 할 양을 소화하고 있던 중에 그 전화를 받았습니다. 가족이 아프다고 해도 제가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기 때문에 일단 해야 할 것을 하자고 생각하고 할 일을 마쳤습니다. 그리고는 평소와 같은 시간에 도서관을 떠나 집으로 갔습니다.   그런데 집에 도착해서 문을 열자 뭔가가 평소와는 달라졌습니다.언제나처럼 문을 여는데, 그날따라 현..

나만 혼자 뒤쳐진 것 같은 조급함이 들곤 합니다.

살다 보면 나 혼자만 뒤쳐진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남들은 다들 저 앞으로 힘차게 달려 나가는데 나는 제자리를 빙빙 도는 것만 같을 때 말입니다.   루이스 캐롤의 에 보면 붉은 여왕이 나오죠.붉은 여왕의 나라에서는 모두들 열심히 달리고 있습니다. 그걸 이상하게 여긴 앨리스가 그 이유를 묻자 “여기서는 제자리에 있고 싶으면 달려야 한다, 어디론가 가고 싶으면 두 배로 달려야 한다”는 답을 듣습니다. 다른 사람들, 그리고 세상이 너무나 빨리 변한다면 그냥 잠깐 가만히 있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크게 뒤쳐지게 됩니다. 그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세상은 이제 정말 초단위로 바뀝니다.정보 통신 기술로 세상은 하나로 묶였고, 예전에는 지구 반대편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하루는 지나야 알까 ..

인격 Character 와 성격 Personality 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영어에는 인격, 성격을 의미하는 단어가 크게 두 가지 있습니다. Character와 Personality가 그것이지요. 그런데 이 두 가지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character를 인격, 혹은 인성으로 번역하고, personality는 성격으로 번역해 보겠습니다.성격이라는 영단어, personality는 18세기 이전에는 영어에 존재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그전까지는 성격이라는 단어는 없고, 인격(혹은 인성)이라는 단어만 존재했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혹자는 인격의 문화가 성격의 문화로 전환된 것에 대해 비판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인격(character)이라는 단어에는 도덕적, 윤리적 색채가 강하게 배어있습니다.적어도 미국 문화에서 보기에 인격(cha..

1만 시간의 법칙은 사실일까요? | 몰입 | 칙센트미하이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뭐든 잘하게 되려면 10,000시간을 투자해야 한다는 말이었죠. 이제는 이 법칙이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도 많습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은 말콤 글래드웰이 자신의 저서인 에서 소개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제 기억으로 그는 에서 비틀즈가 전세계적 그룹이 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가 비틀즈로 유명해지기 전부터 1만 시간에 가까운 공연을 통해 실전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했었습니다. 어떤 것을 잘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습을 해야 한다고 하는 사실을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겠죠. 특히 뭔가에 숙달하려면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도 없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1만 시간이 필요한 건인가 하는 것에 대해서 의문을 가진 학자들도 꽤 있었던 것 같..

오스카 와일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 감당할 수 없는 것을 가진 자의 운명

오스카 와일드의 이라는 소설이 있습니다. 완벽한 외양을 가진 도리언 그레이라는 청년이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소설을 읽지 않은 분들에게는 아래 내용이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니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도리언 그레이는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미를 갖고 태어난 남자입니다.그는 자신을 모델로 그려진 자신의 초상화를 보고는 어느 순간 젊음과 육체적 매력이란 영원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는 그것에 대한 말할 수 없는 두려움과 불안, 그리고 초조를 느낍니다. 여기서 마법적인 일이 벌어지게 되는데, 그의 젊음과 아름다움은 유지되는 대신 그의 초상화가 대신 늙어가게 됩니다. 그래서 그는 시간이 지나도 계속 초상화가 그려지던 때의 미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육체적 아름다움과 도덕적 고결함을 하..

반응형